언어(3)
-
프로그램 언어
세계의 언어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옆 나라인 일본이나 중국과도 언어가 다르고, 멀리 조그마한 섬나라의 언어도 다르다. 국내에서도 제주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충정도, 경기도 각 사람들이 모여서 정통 사투리로만 대화한다면 서로 못 알아들을 수 있다. 각 지방마다 사투리가 왜 틀릴까 의문이 든다. 지역 특성, 먼 과거에서부터 내려오는 역사적 특성, 산에서 사는지 해안가에서 사는지, 평야에서 사는지에 대한 지리적 특성 등이 혼합되어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말투와 단어, 의성어, 의태어 등이 지역만의 특색으로 정착된 것일지도 모른다. 언어학자가 아니기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언어가 없던 원시인 시절에는 모두가 몸짓이나 ‘으구구, 우우..’ 같은 의성어를 사용했을 것이다. 몸짓, 발짓, 턱짓 등 온갖..
2021.01.10 -
프로그램 패턴
아이큐, 창의력, 응용력 등 지능을 테스트하는 문제에서는 언제나 패턴 찾기가 나온다. 미세하게 또는 대놓고 반복되는 형태를 찾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알게 모르게 주변에서 이런 패턴 찾기는 쉽게 볼 수 있다. 혈액형 성격, MBTI 테스트, 관상, 손금, 별자리 운, 프로파일, 범죄심리 등등 대부분이 패턴이다. 습관도 패턴이고, 루틴은 단어 자체만 봐도 패턴이다. 또한 일상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는 보도블록, 표지판, 신호등, 운전, 걸음 형태, 손짓 등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닌, 행동이나 생활 자체도 패턴이다. 거의 모든 것이 패턴이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것뿐이다. 이렇듯 일상 자체가 패턴인데, 아이큐, 창의력 같은 테스트에 패턴 찾기 문제가 나오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패턴을 얼마큼 인식하고 있느냐’의 테..
2020.12.29 -
프로그램 언어의 번역과 통역
한국어를 제외한 다른 나라 언어를 배운다는 건 쉽지 않다. 언어는 그 나라의 문화이기 때문에 그 나라의 가치관, 사회사상, 세계관 등을 알지 못하면, 현지인만큼 잘할 수는 없다. 몸짓으로 표현하는 시그널 자체도 서로 다른데, 생각을 표현하는 언어가 같을 수는 없다. 우리에겐 어릴 때부터 우리 문화도 아닌데, 강제적으로 배워야 할 영어가 있다. 하나도 버거운데, 전혀 다른 문화의 언어를 강요한다. 마치 영어를 못하면 사회에서 도태될 것 같은 이미지를 사회가 심하게 심어주고 있다. 우리 것이 좋다고 하면서 영어를 마치 우리 것인 양 강요한다. 영어에 한이 맺혀서 죽은 영혼이 떠돌면서 외치는 것 같다. 한 많은 한국이라지만, 우리 것도 아닌 다른 문화의 것에 한이 맺힌 건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다. 내가 영어..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