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
-
프로그램 언어
세계의 언어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옆 나라인 일본이나 중국과도 언어가 다르고, 멀리 조그마한 섬나라의 언어도 다르다. 국내에서도 제주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충정도, 경기도 각 사람들이 모여서 정통 사투리로만 대화한다면 서로 못 알아들을 수 있다. 각 지방마다 사투리가 왜 틀릴까 의문이 든다. 지역 특성, 먼 과거에서부터 내려오는 역사적 특성, 산에서 사는지 해안가에서 사는지, 평야에서 사는지에 대한 지리적 특성 등이 혼합되어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말투와 단어, 의성어, 의태어 등이 지역만의 특색으로 정착된 것일지도 모른다. 언어학자가 아니기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언어가 없던 원시인 시절에는 모두가 몸짓이나 ‘으구구, 우우..’ 같은 의성어를 사용했을 것이다. 몸짓, 발짓, 턱짓 등 온갖..
2021.01.10 -
갑자기 추억 소환하기
대입 학력고사의 마지막 세대였다. 지금의 수학능력시험과는 다르게 시험이 치러진다. 먼저 대학에 지원을 하고 그 대학에서 시험을 치른다. 전기 대학과 후기 대학으로 나뉘고 이후 전문대로 치른다. 학력고사의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붙어야겠다는 일념으로 많은 분들이 하향 지원을 감행했다. 덕분에 이미 하향인 사람들은 밀려 밀려 거의 포기 상태였다. 될 대로 되라식으로 이미 포기한 거 좋은 대학에 지원이라도 한번 해보자 식으로 찔러보는 사람들도 다수 있었다. 결과는 좋은 대학에서 미달이 나오는 사태가 벌어졌다. 미달이기 때문에 지원한 학생들은 거의 대부분 합격을 했다. 수도권이나 지방대학은 오히려 경쟁률이 최대치를 찍었다. 나처럼 밀리고 밀려 어떻게든 예상 점수에 맞춰서 지원한 사람들은 쓴잔을 마셨다..
2021.01.01 -
프로그램 패턴
아이큐, 창의력, 응용력 등 지능을 테스트하는 문제에서는 언제나 패턴 찾기가 나온다. 미세하게 또는 대놓고 반복되는 형태를 찾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알게 모르게 주변에서 이런 패턴 찾기는 쉽게 볼 수 있다. 혈액형 성격, MBTI 테스트, 관상, 손금, 별자리 운, 프로파일, 범죄심리 등등 대부분이 패턴이다. 습관도 패턴이고, 루틴은 단어 자체만 봐도 패턴이다. 또한 일상 어느 곳에서나 존재하는 보도블록, 표지판, 신호등, 운전, 걸음 형태, 손짓 등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닌, 행동이나 생활 자체도 패턴이다. 거의 모든 것이 패턴이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것뿐이다. 이렇듯 일상 자체가 패턴인데, 아이큐, 창의력 같은 테스트에 패턴 찾기 문제가 나오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패턴을 얼마큼 인식하고 있느냐’의 테..
2020.12.29 -
갑자기 추억 꺼내기
학생 시절의 추억은 열 손가락이 남아 돌 정도로 별로 없다. 특히나 초등학교 시절은 암흑 그 자체이다.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 시절이다. 중학교는 그나마 별로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 추억이 있다. 학교 근처에서 하이에나처럼 떼거지가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한량들에게 걸려서 얻어맞고, 2천 원을 뜯긴 추억 외에는 희끄무리하다. 당시 2천 원이면 떡볶이를 1.5인분이나 2인분 정도 먹을 수 있는 금액이었다. 떼거지들이 얼마나 배고프고, 절박했으면 때리면서까지 2천 원에 1원이라도 더 뜯기 위해서 '1원에 한대'라는 말을 반복하면서 필사적으로 강제 몸수색을 했다. 그날 이후로는 그 길로 가지도 않고, 다른 떼거지들이 맞은편에서 오면 살 것도 없지만, 슈퍼마켓이나 문방구(문구점), 서점에 들어가서 사장님과 뻘쭘한 ..
2020.12.28 -
프로그래밍 용어
영어 사전을 볼 때 되도록 영영한 사전을 본다. 대부분 언어의 단어는 단순히 명시적인 뜻만 가지고 있지 않다. 단어에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영영 사전에는 단어에 대한 의미 해설이 있어 단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알 수 있다. 한국어 사전에도 단어를 검색하면 단어 의미 해설을 볼 수 있다. 각 언어권의 자신의 언어 사전에는 단어의 의미가 있지만, 다른 언어 사전에는 의미 해설보다는 명시적이고, 단순한 뜻만 기록되어 있다. 영한사전도 헷갈리게 여러 가지 한국어 단어로 매칭 하는 것보다 의미 해설로 기록하는 게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의미'와 '뜻'을 보자. 언듯 같은 단어로 생각하지만, 같은 해석을 가지는 단어를 두 개나 만들 필요가 있을까. 비슷하지만, 다른 해석이 있다. 일단 ..
2020.12.20 -
프로그래밍 개발 방식
공장을 생각해보자. 어느 공장인지는 알고 있는 공장, 마음에 드는 제품을 만드는 공장, TV에 많이 나온 공장 등등 아무 공장이나 좋다. 작은 공장도 상관없고, 개인이 하는 공방도 상관없다. 나도 공장에서 어떤 프로세스로 제품을 만드는지 직접 보지는 못해서 어떻게 제품이 만들어지는지는 일반적인 생각과 감으로 알고 있을 뿐이다. 공장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많이 부족하지만, 3D 프린팅을 시도한 적이 있다. 3D 프린터 제조부터 제품까지 한 공정의 경험을 잠시 이야기로 풀겠다. 3D 프린팅에 대한 기술이 들어온 지 3,4년 정도 지난해였다. 핫이슈까지는 아니더라도, 미래 육성 기술이라고 간간히 매스컴에 소개되는 정도였다. 한참 사업거리를 찾던 중에 Adult Toy가 유행을 달릴 때 3D 프린팅으로 제조하면 ..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