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
-
웹 프로젝트 진행 과정 한눈에 보기
프로젝트는 윗사람이 만들자고해서 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또는 아이디어와 만들고 싶은 게 있고, 돈도 있다고 개발자나 개발회사를 섭외해서 바로 만들어지는 것도 아니다. 아이디어가 있다면 아이디어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상세하지는 않지만, 전체 구상하는 그림은 있어야 한다. 가령, 내 주위의 마스크 판매처를 지도에 표시하면 편리할 것 같다라는 아이디어가 있다. 이 아이디어 하나만 가지고 만들어줄 개발자를 섭외해서 ‘알아서 잘 만들어주세요'라고 요청하는 것은 성형외과에 가서 ‘예쁘게(멋있게) 성형해주세요'와 같이 막막하기만 하다. 눈을 좀 더 크게 하고 싶다던지, 코를 더 세우고 싶다던지, 입술을 도톰하게 하고 싶다던지 등등 의뢰자가 제시해야 거기에 맞추어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진행한다. 예쁘..
2020.07.22 -
개발에도 직군이 있다.
개발을 배우고 회사에 취업을 하면 개발만 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개발에도 직군이 있습니다. 회사 자체 프로젝트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곳이 있고, 다른 회사에서 의뢰한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개발하는 SI-System Integration(이)가 있습니다. 또한 이미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는 것을 관리하는 SM-System Management와 관리하면서 버그나 수정, 간단한 기능 추가 등을 하는 SE-System Engineer가 있습니다. 이밖에도 OP-Operator, SP-System Programmer가 있지만, 가장 많은 직군인 솔루션, SI, SM, SE를 보겠습니다. 가장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군은 SI입니다. SI는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모든 과정을 경험할 수 있고, 다양한 개..
2020.07.22 -
개발 하기 전 필요한 요소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맨손으로 집을 지을 수는 없습니다. 페이스북에는 맨손으로 집을 짓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메모장으로 개발을 하더라도 컴퓨터에서 개발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메모장에서 개발이 가능합니다.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릅니다.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하게 개발하려면 0과 1로 코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0과 1로 코드를 어떻게 만들어야하는지 막막하네요. 코드는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영어로 작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0과 1이라니.. 뭔가 사기 같습니다. 0과 1로는 도저히 개발을 못하겠고,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영어로 개발을 하고 싶습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플랫폼 Platform입니다. 플랫폼은 ‘사람이나 어떤 것이..
2020.07.22 -
웹 서비스도 오피스가 있다?
웹 서비스는 크게 FO-Front Office, BO-Back Office로 구분됩니다. Office가 사무실이라는 의미는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영문 사전에는 Business 업무의 place 공간,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Front Office는 앞에서 업무를 하는 장소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은행으로 예를 들어보면 창구 같은 의미입니다. 고객을 상대로 업무를 하는 곳입니다. IT에서 같은 의미로 고객을 상대로 업무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웹 또는 앱이 FO입니다. 반대로 Back Office는 뒤에서 업무하는 장소라는 의미로 일반 사무공간을 말합니다. IT에서도 마찬가지로 직원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은행의 창구나 서비스 센터 등 ..
2020.07.22 -
웹 서비스 개발 초기 단계
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획, 디자인, 퍼블리싱,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처음 기획에서 웹 서비스를 어떻게 만들지 스토리보드로 화면 설계를 합니다. 스토리보드에는 페이지 레이아웃과 어떤 내용이 들어가는지, 버튼마다 어떤 동작을 하는지 작성합니다. 또한 UX의 관점에서 전체 흐름과 레이아웃을 설계합니다. UX는 User Experience로 사용자 경험이라는 의미입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경험을 할 수있도록 구성과 화면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더 설명하기에는 이 과정과 맞지 않아, 이 정도로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스토리보드가 작성되면, 화면 레이아웃을 디자인합니다. 이 작업을 UI Use..
2020.07.22 -
웹 서비스와 통신 하는 방법
인터넷은 ‘노드'와 ‘노드'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간입니다. 이 ‘노드’에 IP 주소가 있으면 ‘host’라고 부릅니다. ‘host’라는건 ‘집주인', ‘운영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쇼핑 호스트가 대표적인 예가 될 것 같네요. ‘host’는 서비스 제공을 진행하는 것으로, 쇼핑 호스트는 방송으로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를 진행합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고 제공하는 컴퓨터를 ‘host’라고 합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는 ‘서버'라고 합니다. 모든 ‘서버'는 ‘host’이지만, 모든 ‘host’는 ‘서버'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친구끼리 파일을 주고 받거나, 내 컴퓨터에 원격접속해서 컴퓨터를 고쳐주는 것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컴퓨터(서버)가 필요없이 바로 내 컴퓨터와 친구 ..
2020.07.22